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카카오맵 api
- es11
- React Kakao map
- spread operation
- Python #CodeUp
- 카카오맵
- Hooks
- React #Hooks
- HTML #CSS
- es6
- CSS
- Template literals
- 프로그래머스
- Python #Baekjoon
- Python
- BOJ
- react
- Default parameter
- Next
- nextjs
- css #html
- Redux
- optional chanining
- JavaScript
- Nullish Coalescing Operator
- HTML
- firebase
Archives
- Today
- Total
거북이개발자
[HTML] DOCTYPE란? 본문
1. DOCTYPE
<!DOCTYPE html>
- DOCTYPE 선언은 HTML 문서에서 <html> 태그를 정의하기 전에 먼저 선언되어야만 한다.
- 이러한 DOCTYPE 선언은 HTML 태그는 아니지만, 선언된 페이지의 HTML버전이 무엇인지를 웹 브라우저에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선언문으로,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.
- HTML 4.01에서 DOCTYPE 선언은 SGML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DTD를 참조해야 한다.
- DTD는 브라우저가 콘텐츠를 정확하게 표현하도록 마크업 언어에 대한 규칙을 명시한다.
- HTML5는 SGML을 기반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DTD를 참조할 필요가 없다.
2. DTD (Document Type Definition)
- DTD란 문서 형식을 정의해놓은 것으로 DOCTYPE을 명시할 때 사용한다. 즉, HTML 문서가 어떤 문서 형식을 따르는지 DOCTYPE에서 DTD를 지정하는 것이다.
출처 : http://www.tcpschool.com/html-tags/doctype
'Web > HTML & 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] Local storage VS Session storage VS Cookie (0) | 2021.04.05 |
---|---|
[HTML] 표준 모드(Standards mode) VS 호환 모드(Quirks mode) (0) | 2021.04.05 |
[카카오톡 클론코딩]카카오톡 클론코딩 틀완성(1차 완성) (0) | 2021.01.09 |
[카카오톡 클론코딩]카카오톡 클론코딩 로그인창 (0) | 2021.01.06 |
[카카오톡 클론코딩]카카오톡 클론코딩 목표 (0) | 2021.01.06 |
Comments